결론부터 말하자면 카드 사용 혜택 말고 신규 발급혜택을 노려야함. 그럼 한 달에 최소 10만원 이상 받을 수 있음.
신용카드를 비교할 때 보통 사람들은 혜택과 연회비 등을 알아봄. 근데 사실 카드 혜택은 별로 쓸모 없음. 그 이유를 적어보겠음. (카드 30~40개 정도 발급 받고 쓰고 하다보니 깨달은 경험담)
카드 좀 써본 사람은 피킹률을 따져봄. 피킹률이란 카드로 결제한 금액 대비 받은 혜택을 얘기함. 만약 1달에 100만원 쓰고 캐시백, 포인트, 할인 등등 혜택으로 총 15,000원을 받았다고 하면 피킹률은 1.5%가 되는 것임. 카드마다 혜택이 제각기 다르니 객관적인 수치를 피킹률로 비교해 볼 수가 있음.
근데 이 피킹률은 현실적으로 2%를 넘을 수 없음. 왜냐하면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율이 2%정도 이기 때문. 여신금융협회 공시에서 발표된 2022년 신용카드 업계 평균가맹점 수수료율은 2.07%임. 이 수수료를 받아서 소비자에게 혜택을 주는 구조인데 들어오는 돈인 수수료보다 나갈 돈인 혜택 많으면 적자임. 카드사가 적자를 가만히 보고 있을리가 없기 때문에 카드 사용 혜택은 절대 이 비율을 넘을 수 없음.
실제 뱅크샐러드 가면 피킹률 높은 순으로 신용카드를 정렬해주는데 TOP3 도 1.5%를 넘지 못함. 카드 쓸때마다 0.5%이상은 카드사가 먹는 거임.
근데 피킹률을 비약적으로 높이는 방법이 있음. 바로 신용카드 신규 발급 혜택을 노리는 것임.
오래전부터 신용카드사들은 신규고객 유치에 아주 적극적임. 사람들은 한번 카드를 발급받으면 잘 바꾸지 않고 계속 사용하기 때문. 그래서 신규로 신용카드를 발급 받으면 혜택이 굉장히 큼
대형마트 계산대 근처에서 카드 발급받으라고 홍보하는 것을 본적이 있을 거임. 여기에서도 카드를 새로 발급 받는 사람이 많은데 그 이유가 현금을 주기 때문. 보면 우리엄마도 예전부터 카드가 있는데도 또 신규로 발급 받아 신용카드를 여러장 들고 다니면서 썼음. 다 현금을 받기 위해서 였음.
카드사에서는 한번 발급을 해주면 오랜기간 쓰고 그만큼 수수료로 다 빼먹을 수 있으니까 처음 발급받을 때 현금을 많이 줌. 금액은 1건당 10~20만원 정도된다고 함. 알사람들은 다 알아서 주기적으로 신용카드를 발급받는 사람들이 있음.
어찌 됐든 이전부터 이런게 있었는데 이제 이게 온라인으로 넘어옴. 카카오페이, 토스, 네이버페이 등에 사용자들이 몰리니까 여기에 신용카드 발급을 받을 수 있게 하고 혜택을 포인트로 줌. 옛날에는 직접 카드 아줌마 찾아서 전화하고 등등 귀찮은 작업이 있었는데 이게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가능해진 것임. (대신 현금말고 카카오포인트, 네이버포인트 등으로 주는 경우가 많음.)
당연히 조건이 있는데 카드를 발급받아서 15~20만원 정도 사용해야함. 근데 솔직히 이정도는 다 쓰지 않음? 만약 카드값 100만원 쓴다고 해도 17만원 신규 카드발급 혜택을 받으면 피킹률 17%가 되는 것임. 피킹률이 2%를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카드 사용 혜택과는 비교가 안됨. 받는 혜택에 비하면 조건은 별것도 아닌 것임.
근데 이거를 계속 똑같은 카드사로 할 수는 없음. 카드사도 다 계산이 있기 때문에 한번 자기회사 꺼 신규 발급 하고 나면 1년이 지나야 다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그래서 나처럼 엑셀에 기록을 해두고 1년마다 발급 받으면 됨.
그리고 너무 여러 카드를 한꺼번에 만드면 신용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한 달에 하나만 발급받는 것을 추천함.
네이버 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등을 들어가보고 제일 돈많이 주는 대서 발급을 받으면 됨. 보통 10~17만원 정도 됨. 15만원 이상 넘어가면 충분히 많은거니 발급받아서 돈 잘 쓰면 될듯.
직접 비교해보기 귀찮으면 그냥 구글에 "신용카드 신규발급 혜택 정리"로 검색하면 됨. 매월 신규카드 발급 혜택 정리해놓은 커뮤글이나 블로그 글이 뜸. 나도 여기서 보고 젤 좋은걸로 바로 발급받음. 10분정도 밖에 안걸리는듯.
카카오페이에서 벌써 여러번 카드를 받다보니 포인트가 계속 쌓임. 지금은 21만점 정도 쌓였는데 그래도 어떻게 쓰기는 다 쓰는듯.
재테크 하는 사람들에게는 가성비 좋은 재테크 방법으로 이미 유명함. 투자시간대비 받을 수 있는 돈이 많기 때문. 매월 다른 카드를 돌려쓰기 때문에 카드 풍차돌리기 라는 이름도 있음 ㅋㅋ 가족들 카드까지 발급 받아 주면 피킹률은 점점 더 올라감.
이외에도 인터넷 가입, 통신비, 음악이용권 등에도 비슷한 방법으로 할인을 많이 받을 수 있음. 이미 아는 사람들이 많지만 첨 카드를 발급받는 사회초년생들이 이런 부분을 잘 모르는 것 같아 써봄. 쉽게 돈 챙길 수 있는 부분들은 최대한 챙겨가면 좋겠음.
아 그리고 참고로 쓴지 몇개월 안되서 카드를 해지하면 연회비를 어느정도 돌려줌. 다 돌려받는 거는 아니고 6개월 쓰면 30%정도는 돌려주는듯. 연회비에서 카드발급 비용 등을 제외하고 카드 사용일을 일할계산해서 남은돈을 돌려주기 때문. 그래서 가끔혜택은 20만원이고 연회비 5만원 이런것도 있는데 나는 개인적으로 받는 돈이 더 많고 연회비도 어느정도 돌려주니 연회비가 비싸도 왠만하면 그냥 하는 편임.
결론 : 카드사 신규혜택 이용하면 쓴 돈 17%이상을 혜택으로 받을 수 있음.
'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카드 9개 카드사 비교 추천 (+혜택 정리) (0) | 2023.04.12 |
---|---|
혜택 좋은 신용카드 순위 찾는 방법 3가지 (제발 카드 설계 받지 마..) (0) | 2023.04.11 |
신용카드 비교 직장인의 TOP3는? (신한 KB국민 삼성카드) (0) | 2023.04.03 |
댓글